[오늘의 용어] 올해 상반기 급증한 무상증자를 아시나요?

2021/07/26 10:06AM

요약

국내 증시에서 무상증자 이슈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무상증자를 실시하는 상장사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주가 흐름도 긍정적인 흐름을 연출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상장법인의 무상증자는 9억 2800만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257% 늘었습니다.

출처: 한국예탁결제원

 

그럼 무상증자는 무엇이며 주주 입장에서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우선, 간단한 재무제표의 개념을 알고 있으면 증자에 대해 이해하기 쉬습니다. 아래의 표를 보면 회사의 자산은 조달 형태에 따라 자본(내돈)과 부채(남의돈)으로 나뉩니다.

자본은 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으로 세분되죠. 자본금은 주주가 회사에 투자함으로써 조달된 자금을 말하며, 자본잉여금은 영업활동이 아닌 증자, 감자 등의 자본거래로부터 발생한 잉여금을 뜻합니다. 주식발행차금, 자기주식처분이익 등이 이에 속하죠. 이익잉여금은 영업활동과 영업외 손익거래에서 발생된 이익 중 회사 내에 유보된 돈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무상증자는 무엇일까요? ‘무상’은 ‘아무런 대가나 보상이 없는 것’ 의미하며, ‘증자’는 ‘자본금을 증가시킨다’는 뜻합니다. 즉, 무상증자는 투자자에게 돈을 받지 않고, 주식을 발행하는 것을 말하죠. 기업 입장에서 무상증자는 주주가치 제고 등의 목적으로 주로 활용합니다.

 

주주에게 무상으로 주식을 나눠주는데 어떻게 자본금이 증가할까요? 그 원리는 밑에 그림처럼 자본 항목 중 자본잉여금이 자본금으로 계정과목을 재분류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자본잉여금에 있는 돈이 자본금으로 옮겨지는 것을 말하죠.

이러한 무상증자는 기업의 이익을 주주와 공유하는 차원에서 대표적인 주주친화정책으로 꼽힙니다. 주주 입장에서 추가적인 돈을 들이지 않고 기업의 잉여금으로 더 많은 주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또한 '재무 구조가 탄탄한 회사'라는 인식도 얻을 수 있습니다. 무상증자는 잉여금이 많이 쌓인 회사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죠. 기업이 순손실을 내면 자본총계 중 잉여금 항목부터 소진하기 때문에 실적이 부진한 기업은 잉여금이 많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식 수가 늘어나 거래가 활성화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거래량이 활성화되면 거래량이 부족해 발생했던 저평가 요인이 해소됨으로써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릴 수 있습니다.

 

다만,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무상증자는 단순 회계상의 변화(자본잉여금→자본금)이기 때문에 기업의 본질적 가치 개선과 무관합니다. 아울러 주주의 보유 지분 가치도 변동하지 않죠.

 

예를 들어, 주가 1만원인 A의 주식 100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A사가 1대1 무상증자를 결정했다면 투자자의 주식은 200주로 늘어납니다. 하지만 보유한 지분가치는 100만원으로 동일한데요. 권리락(무상증자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가 없어진 것) 당일 정확히 늘어난 주식 수만큼 주가가 1만원에서 5000원으로 하향조정되기 때문이죠.

 

따라서, 무상증자가 기존 주주들에게 긍정적인 시그널인 것은 사실이지만 기업 및 주주가치가 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섣부른 매수는 고민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인사이트팀  의 다른 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