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현

매크로분석

거시경제분석 기초 ⑦ - 세계 및 한국 경제에 영향 미치는 중국 물가상승률과 수입증가율

2017/05/17 08:20AM

요약

지난글 '거시경제분석 기초 ⑥ - 중국경제 알기 위해 꼭 챙겨야 할 대표적인 지표들'에서 중국의 대표적인 지표인 '산업생산 / 고정자산투자 / 소매판매' 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현장에 종사하는 관리자들의 경기판단을 보여주는 PMI 지표도 소개했죠.

2002년 WTO 체제 가입 이후, 세계경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영향력이 조금씩 커져감에 따라, 중국의 생산활동은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10%가 넘는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던 성장세가 멈추면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중국정부의 성장률 목표 하향조정은 무슨 의미를 담고 있을까?", "과연 중국의 경제지표는 정확한 것일까?" 등등 여러 질문들이 쏟아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

중국의 생산활동 둔화는 여러 경로를 통해 세계 및 한국경제에 영향을 미칩니다. 첫째로는 당장 기업활동에 영향을 미칠테고, 둘째로 중국인들의 소비에 따른 악영향이 있죠. 이것들 이외에 눈에 보이게 드러나느 경로는 바로 '중국 수입 증가율''중국 물가상승률' 입니다. 

 

중국경제 성장에 따라 세계무역규모도 커졌으며, 특히 한국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15년새 12%에서 26%로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따라서, 중국 수입이 줄어든다는 것은 세계무역 성장이 둔화되고 한국의 수출 또한 줄어듦을 의미하죠. 

중국 물가상승률의 영향은 좀 더 복잡합니다. 2000년대 경제학자들의 관심사는 '중국경제가 세계 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영향' 이었습니다. "중국이 값싼 공산품을 대량으로 생산한 영향으로 세계경제 저물가 기조가 만들어졌다"는 주장을 몇몇 경제학자들이 제기했습니다. 이로인해, 중국 소비자 / 생산자 물가상승률에 관심을 가지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그럼 이번글에서는 중국 물가상승률과 수입증가율을 보는 법을 알아봅시다.

 

 ● 중국 소비자 / 생산자 물가상승률

<출처 : 중국 국가통계국,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중국 소비자 / 생산자 물가상승률은 국가통계국(NBS)에서 매월 중순 발표합니다. 소비자 물가상승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음식료, 특히 돼지고기 가격입니다. 중국인들의 돼지고기 소비가 많은 특성상, 소비자물가지수 구성에서 돼지고기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3.3%나 차지합니다. 하나의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으로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올해 초 들어 중국 물가 상승세가 둔화된 이유는 음식료 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음식료 부문 이외에 주거비 / 의료비 / 교육비는 3~5%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죠.

<출처 : 중국 국가통계국, 4월 생산자물가 상승률>

생산자 물가상승률은 세계경제 인플레 여부를 좀 더 잘 보여줍니다. 소비재와는 달리 철강 등 원자재 및 중간재 제품 가격 상승률이 다른 국가 상품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중국의 광산제품(+32.2%), 원재료(+14.1%) 등은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세계경기 회복세 및 인플레 여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 중국 수입증가율

중국 수입 /  수출 증가율은 해관총서에서 매월 7일 부근 발표합니다. 

중국 수입증가율의 모양은 한국 수출증가율과 동행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국의 수출액 중 대중국 비중이 25%를 차지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죠. 중국의 수입이 늘어나면(줄어들면) 한국의 수출도 늘어나는(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날 수 밖에 없습니다. 

한국 수출입 통계가 매월 1일 발표되는 점을 생각하면, 중국의 수출입 통계는 일주일 정도 늦습니다. 그렇지만 중국 수입증가율의 추세를 통해, 한국 수출의 추세도 예측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도움이 되고 있죠.

 

● 최근 중국 경제지표가 알려주는 점

최근 중국의 경제지표가 알려주는 바는 간단합니다. 2000년대 중반 만큼의 고성장은 아니지만, 확실히 2014년 이후의 침체기에서 조금씩이나마 벗어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산업생산은 증가추세이며, 생산자물가도 상승세로 돌아서며 경기회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수입증가율도 개선됨에 따라 한국 수출에도 호재로 작용하고 있죠.

 

주현  의 다른 글 보기 >>

정영훈
2017/08/18 05:17 AM

하나하나 매우 귀중한 자료 감사합니다.
알기쉽게 잘쓰셔서 쉽게이해했어요
앞으로도 부탁드릴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