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형님

스몰캡 (냉철한 종목 선정)

LCC와 함께 비상중인 지방공항 ①

2016/11/21 07:05AM

요약

 해외여행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여신금융협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3분기 카드 해외 이용 실적이 역대 사상 최대인 37.8억 달러를 넘어섰다고 합니다.

<자체제작, 출처 : 여신금융협회>

 많은 사람들이 여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비행기를 이용하는 이용객도 매 달 역대 최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국공항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10월 항공기를 이용한 이용객도 전년 대비 8.31% 증가한 약 1,213만 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자체제작, 출처 : 한국공항공사>

 좀 더 자세히 국내 항공기 이용객을 살펴보면, 전체 항공기 이용객 중 국제선을 이용한 이용객은 약 52%를 차지하고, 국내선을 이용한 이용객은 약 4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2016년 10월 기준) 전체적인 이용객 비율을 비슷하다고 보이나, 최근 전체 항공기 이용객 성장은 국제선의 성장이 국내선의 성장률을 압도하며, 전체 성장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2015년은 메르스 사태로 국제선 성장이 주춤했지만, 올해 들어 국제선 성장은 10월 누적 전년대비 20%에 달하는 반면, 국내선 성장은 10월 누적 전년대비 약 11%에 그치고 있습니다.

<자체제작, 출처 : 한국공항공사>

 이러한 항공기 수요 증가에 따라, 국내 전체 국제 및 국내선 공항의 항공 운항 횟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공항의 전체 항공기 운항 횟수는 10월 누적 전년 대비 약 10%의 증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2015년 메르스 사태로 인한 기저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매 년 약 6~8%의 지속적인 증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자체제작, 출처 : 한국공항공사>

좀 더 자세히 국내 국제 및 국내선 항공기 운항 횟수를 살펴보면, 전체 항공기 운항 횟수 중 국제선은 약 53%를 차지하고, 국내선을 이용한 이용객은 약 4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2016년 10월 기준) 전체적인 항공기 운항 횟수가 비슷하다고 보이나, 최근 전체 항공기 운항 횟수의 성장은 국제선의 성장이 국내선의 성장률을 압도하며, 전체 성장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2015년은 메르스 사태로 국제선 성장이 주춤했지만, 올해 들어 국제선 운항 횟수의 성장은 10월 누적 전년대비 14%에 달하는 반면, 국내선 성장은 10월 누적 전년대비 약 5%에 그치고 있습니다.

<자체제작, 출처 : 한국공항공사>

전체적으로 현재 항공기 이용 증가(주로 국제선)와 전체 항공기 운항 횟수 증가(주로 국제선)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항공기 시장 내에서의 변화입니다. 과거 항공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메이저 항공사를 이용해야 했지만, 최근에는 LCC로 불리는 저비용항공사의 급증하고, 또한 원유가격의 하락안정화로 인하여 유류할증료가 매우 적어져 항공을 이용하는 가격에 대한 진입장벽이 과거에 비해서 매우 줄어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과거에 항공기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많은 사람들은 항공기의 안전 즉, 신뢰의 문제에 높은 가치를 부여했지만, 경기 불황 등으로 인하여 가격에 대한 가치가 커져 메이저 항공사보다는 LCC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다음으로는 소비자의 여행 수요 증가가 있습니다. 과거 대비 많은 사람들이 지적 교육수준 및 스마트폰 이용 및 정보의 대칭성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적 절대수준이 높아졌고, 이로 인해 과거 대비 '경험 가치'라는 무형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험 가치'의 중요한 부분인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고령화 증가에 따라 은퇴 후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현재 소비자와 공급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현재 국내 항공기 이용 횟수와 운항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많은 공항들이 과거 대비 엄청난 호황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 공항인 인천공항을 비롯해 김해, 대구, 청주 등 지방 거점 공항들도 매 년 사상 최대 이용객을 경신하고 있을 정도로 엄청난 호황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자체제작, 출처 : 한국공항공사>

과거 4~5년 전 만하더라도 국내 지방공항은 흑자를 낼 수 있는 공항이 없었을 정도로, 매우 어려운 처지에 있었는데, 과연 어떻게 이렇게 극적인 변화가 있었을까요?

<출처 : 문화일보>

지방공항의 극적인 변화의 중심에는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 위한 LCC와 이용객 저조에 허덕이던 지방공항 사이의 이해관계에 있습니다. 국내의 기존 메이저 공항이라고 할 수 있는 인천과 김포공항의 경우에는 상당 부분 운항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CAPA가 한계가 존재했고, 실제로 가능하더라도 LCC가 메이저 항공사와 경쟁해서 확보할 수 있는 경쟁력도 부족했습니다. 따라서 메이저 공항 이외의 공항을 찾기 시작했고, 지방공항의 경우 과거 LCC 도입 이전에는 국내선 같은 경우 KTX나 고속버스 등과 같은 대중교통과 비교해 시간적, 비용적 메리트가 없어 이용객이 저조했고, 국제선도 비슷한 이유로 메이저 항공사의 운항이 저조했던 측면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지방 공항의 경우 어떻게든 항공사의 취항을 통해 활성화 시켜야 할 필요성이 존재했습니다. 그래서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 위해 항공편을 늘려야만 하는 LCC와 공항 이용자를 늘려야만 하는 지방공항 사이의 이해관계가 맞아 서로 Win-win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든 것 입니다.

<출처 : 파이낸셜뉴스>

<출처 : EBN>

호랑이형님  의 다른 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