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RU

소비트렌드로 보는 투자아이디어

한국전력, 우려를 거둬내고 속을 살펴보자

2017/05/17 08:16AM

| About:

한국전력
요약

언론 보도에 따르면 15일 문재인 대통령은 가동 30년이 지난 전국의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10기 중 8기의 ‘일시 가동중단(셧다운)’을 지시했습니다. 아울러 10기 모두 임기 내 폐쇄하고, 폐쇄 시기도 최대한 앞당기기로 했는데요.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유진투자증권)

 

이런 소식이 전해지자 비용 부담이 커질 것이란 우려로 한국전력이 하락 마감했습니다. 석탄발전소에서 확보하던 전력 일부를 LNG화력 등 상대적으로 비용이 고가인 발전소에서 충당해야 되기 때문인데요.

 

 

걱정에 앞서 매도에 급급하기 보다는 "투자 대가들은 뉴스나 루머 등 단발성 소식에는 절대 꿈쩍하지 않는다"는 말처럼, 이같은 영향이 얼마나 클지 한 번 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이번 노후석탄화력발전소 셧다운으로 한국전력이 감당할 비용은 어느 정도일까요?

청와대는 30년 이상 된 석탄화력발전소 10기 중 8기의 가동을 올해 6월 한달간 가동을 중단하고 부족한 전력수요를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으로 대체할 계획인데요. 청와대는 LNG 발전소를 늘릴 경우 0.2% 정도 요금인상 요인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약 680억원 정도인데요. 

이후 한국전력이 질 비용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는 한 달이지만, 2018년부터는 매년 3~6월 4개월간 가동을 중단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인데요. 그럼 내년부터 매해 4개월간 석탄발전소 가동을 중단하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LNG발전소를 가동한다면 얼마나 비용이 더 들까요? 전일 한국전력에 대한 리포트를 제출한 증권사(KB증권 2081억원, 키움증권 2500억원, 유진투자증권 5393억원)들을 참고하면 약 3000억원 정도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업계에 따르면 내년부터는 이 같은 비용부담을 한국전력이 모두 짊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김좌관 문재인캠프 환경에너지팀장(환경부 장관 후보)는 2013년까지 원전·석탄 발전비중을 70%에서 43%로 낮추고 LNG를 19%에서 37%로 높이는 발전비중 변화를 추진하는데 전기요금 25% 인상이 필요하다고 발표한 바 있기 때문이죠.

또한 이에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에너지 분야 공약에서 "대기업이 사용하는 산업용 전기요금을 재편해 산업부분에서의 전력 과소비를 방지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죠. 

실제 원전과 석탄발전을 줄이면서 전력수급을 맞추려면 수요관리가 필수로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전기요금을 높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점이 중요한데요, 한국전력 주가는 전기요금 상승에 크게 반응하곤 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석탄발전을 LNG발전이 대체한다고 하더라도 비용 부담이 생각보다 크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정부는 유연탄에 2014년부터 세금을 부과하기 시작했죠. 유연탄 세금은 kg당 18원으로 시작하여 2017년 4월에는 30원으로 상승했는데요. 2016년 4분기 한국전력 석탄 투입단가 기준으로 세금만 23%에 달합니다. 

반면 LNG가격은 2015년부터 유가를 따라 하락했습니다. 발전원별 거래단가를 보면 2015년에는 석탄발전이 KWh당 68.3원, 복합LNG발전이 126.1원으로 복합LNG발전이 85% 비쌌지만, 2016년에는 각각 73.9원, 99.2원으로 격차가 34%로 줄어들었는데요.

앞으로 이 같은 추세는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는 앞으로 석탄에 과세는 늘리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인데요. 또한 미국에선 Shale gas때문에 가스발전이 석탄발전에 비해 경제적인 발전원이 된 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한국전력이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가 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까지 높이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한국전력의 대규모 투자가 불가피하기 때문인데요. 

현행 전기사업법은 발전·송전·배전·전기판매·구역전기 등으로 구분된 전기사업에서 동일인이 두 종류 이상 사업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어, 한국전력은 2001년 이후 발전사업에서 물러나 있었죠. 이후 한국전력은 정부가 인정하는 일부 사업에 한해 특수목적회사(SPC) 출자를 통한 간접투자 방식으로만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해왔는데요. 

전일(16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대로)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이려면 대규모로 투자할 수 있는 한전이 발전사업을 할 필요가 있는 것은 맞다”고 말했습니다. 

 

이외 한국전력에 중요한 이슈가 하나 더 있는데요. 바로 Westinghouse 인수 가능성입니다. Westinghouse는 원자력발전과 관련된 사업을 하는 업체료, 22개의 자회사를 가지고 있는데요. 원자력발전과 관련된 설계부터 해체, 부지복원까지 모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점이 강점입니다.

 

(출처: Westinghouse 홈페이지)

 

이런 업체가 매물로 나올 가능성이 큰데요. 최근 법정다툼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Toshiba는 2006년 미국의 Westinghouse를 인수하여 2008년부터 Westinghouse, CB&I Stone & Webster와 컨소시움으로 조지아주와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총 4기의 원전 건설 사업(24조원 규모)을 진행 하였습니다. 

그러나 2011년 후쿠시마 원전참사의 발생으로 안전기준이 강화되어 예상치 않게 사업비용이 증가했고, 비용부담을 두고 발주처, Westinghouse, CB&I Stone & Webster 간 법적다툼이 벌어지게 됐죠.

Toshiba는 현재 2256억엔의 자본잠식에 빠져있는 상태로 메모리칩 부문 매각과 손실의 원흉인 Westinghouse 지분 매각을 통하여 경영정상화를 추진할 계획인데요. 만약 한국전력이 Westinghouse를 인수한다면 글로벌 원전해체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IAEA에 의하면 글로벌 원전시장의 규모는 2030년까지 300조원, 원전해체시장 규모는 2050년까지 1,000조원으로 전망되는데요. 전 세계 운영중인 원전 449기 중에서 2050년까지 약 420여기가 수명을 종료할 예정이며. 노후 원전을 다수 보유한 러시아, 프랑스, 일본 들의 원전 해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국전력은 현재 우려가 될 만한 이슈가 크게 부각되고 있지만, 장기적인 시각을 가지고 살펴볼 만한 종목인 것 같습니다.

SHERU  의 다른 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