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계량분석을 통한 투자전략 제시

소심한 투자자를 위한 운용기법 (1)

2015/08/02 03:44PM

요약

주식투자자들이 항상 하는 고민이 있다.

"야 좋은 기업 찾아서 투자하라는 것도 알겠는데, IMF 시즌 2 터지면 어떻게 해?"

"좋은 기업이고 나발이고 금융위기 같은거 또 터지면 다 죽는거 아냐?"

 

자산배분이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솔직히 자산배분에 개인투자자가 관심 갖는걸 본 적이 없다.

그럼 또 하나의 카드가 있다. 베타 투자 전략이다.

이번 시간에는 베타투자전략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 한다.

 

이 전략들은 <전략적 가치투자>에 이미 소개가 되어 있으나, 96~06년에 한정하여 테스팅 했다는 한계가 있다.

사실 저 도서가 하고자 하는 말을 완전히 이해를 한 사람도 별로 못 봤고.

자세히 설명을 해 보자.

이것은 1990.01.01부터 2015.07.28까지의 KOSPI 지수 추이이다.

대략 990pt에서 2000pt까지 올라가는데 25년이 걸렸다.

25년간 124.15%, 즉 연 평균 3.20% 수익률을 거둔 셈이다. 채권보다 못한 수익률이다.

장기투자하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보았을것이다.

한국투자밸류 같은 데서는 10년투자한다는 펀드까지 내놓기는 했지만,

KOSPI지수에 94년에 투자하였다면 10년이 지나서도 반토막이 나 있기도 했을것이다.

즉, 장기투자를 하면 손실 확률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저런 사례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인 투자자들이 걱정하는 것은 저런 부분일테고.

 

자. 그렇다면 이걸 개선시키는 방법을 몇 가지 소개해보자.

 

#

투자중단법.

 

"야 생각해보니 IMF고 금융위기고 할거없이 저 때 그냥 주식을 안 들고 있으면 손실 날 일도 없잖아?"

라고 생각한 사람이 있다 치자.

생각해보니 그렇지 않나?

 

그래서 이 사람은 이런 플레이를 하기로 한다.

 

1. 매달 말일 투자 성과를 평가하여, 이번 달에 -가 났다면 주식 비중 0%. +가 났을 시 주식비중 100%.

2. 거래비용 및 배당은 편의상 없다고 가정.

 

예를 들어보자.

마침 오늘이 7월의 마지막날인 7월 31일이다.

7월 한 달간 수익률을 산정하여 +가 났으면 다음 달도 주식 100%로 계좌를 채워가고,

-가 났다면 다음달은 주식없이 현금만 100% 들고가는 전략이다.

이 짓을 매달 반복하는 것이다.

 

[결과]

수익률이 눈에 띄게 개선된 것이 보이는가?

 

IMF때 1000을 돌파한 KOSPI가 400대로 무너지는 것을 많이 보았을 것이다.

저 때 수익률은 -64.51%에 달한다.

하지만 이 전략을 사용하면 손실이 거의 없이 IMF와 금융위기를 버텨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방법은 하락추세에서 방어가 극단적으로 잘 이루어진다.

애초에 하락추세가 발생하면 주식 자체를 보유하지 않기 때문에 손실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게 IMF가 되었건, 금융위기가 터지건, 911테러를 맞건.

다시 말해, 적절하게 투자를 중단하는 것이 오히려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산술 수익률은 투자중단법이 낮게 나오지만,

기하수익률이 높아 손실을 극단적으로 줄여버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높은 수익률이 발생한다.

산술/ 기하 수익률이라는게 어렵게 느껴질텐데, 이런 이야기다.

1. 100원을 걸고 동전을 던진다. 앞면이 나오면 200원(+100%)을 받고 뒷면이 나오면 70원(-30%)만 받는다.

이 경우 산술 수익률은 (100%-30%)/2 = 35%가 된다.

2. 100원을 걸고 동전을 던진다. 앞면이 나오면 300원을 받고 뒷면이 나오면 0원을 받는다.

이 경우 산술 수익률은 (200%-100%)/2 = 50%가 된다.

그럼, 2번이 더 좋은 투자대안일까?

아니다. 기하수익률을 계산해 보면.

1번의 경우 (1*(1+100%)*(1-30%))^(1/2) = 1.1832... 즉 18% 수익을 기대할수 있고
2번의 경우 (1*(1+200%) * (1-100%) ^ (1/2) = 0. 장기적으로 제로에 수렴하는 투자안이다.

이 때문에 산술수익률이 아닌 기하수익률을 가지고 투자대안을 비교해야 한다.


이해가 안 간다면 그냥 "기하수익률을 봐야 하는구나" 정도로만 이해해 주면 된다.

 

 

IMF나 금융위기처럼 극단적인 위기가 자주 찾아올수록 빛을 발하는 방법론이나

11~15년의 박스권 장세에서는 맥을 추지 못한다는 것이 약점이다.

 

한국의 경우 주기적으로 대외적 위기에 큰 타격을 받는 편이니 이런 방법이 단순히 Buy & Hold보다 유용하리라 기대된다.

 

원저는 96~06년의 기간에 걸쳐 시뮬레이션을 하였으나, 시계열을 더 길게 잡아서 시뮬레이션 해 보았다.

참조문헌 : 전략적 가치투자, 신진오 저, 이콘, 142-146pp

 

 

 

2. 추세투자법

 

"야 저거 말고 기술적 분석을 좀 응용해보면 어떨까.
이평선 위에 주가가 노는지 여부라던가로 매매하면 좀 더 나은성과를 거둘 수 있지 않을까?"

 

- 매달 말 일에 160일 이동평균선을 비교한다.
- 종가가 160일 이평보다 낮으면 주식 비중은 0%로 가져간다.
- 종가가 160일 이평보다 높으면 주식 비중은 100%로 가져간다.

 

 

추세투자법의 경우 수익률은 투자중단법에 비해 개선이 되고 있다.

그러나 투자중단법에 비해 방어력은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비교적 더 불안정하다는 소리다.

이것은 왜 그럴까?

이는 기술적 분석의 휩쏘 때문이다.

 

이동평균선을 뚫고 주가가 올라 매수를 하였는데, 다음날 다시 이동평균선 아래로 주가가 떨어진다거나 하는 현상을 본 적이 있는가? 그러한 현상을 휩쏘(Whipsaw)라고 한다. 속임수 신호라고도 한다.

이런 휩쏘가 거듭되다보면 손실이 누적된다.

 

[참조]

원저에서는 60MA를 썼으나 필자의 경우는 160MA를 썼다.
이는 최적화 하여 계산한 값이 대략 160일 이동평균선이었기 때문이다.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최적화 한 값이 대략 17x일 이동평균을 쓰는 것으로 나왔으나, 과최적화 우려가 있다.
1달은 대략 20거래일. 그렇기 때문에 대략 가장 비슷한 160MA를 사용하였다.
사실 60MA건 160MA를 쓰건 별 차이가 없다.

매일 계산하여 매매를 하지 않고 월초/월말 등 1개월 단위로 반영을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대개의 경우 이동평균선을 사용하는 전략은 160~180MA가 최적값인 경우가 많다.

 

이 두 전략은 모두 기본적으로 추세추종을 베이스로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비추세구간에서는 손실이 누적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확연한 하락장에서는 비교적 방어가 잘 이루어 진다.

개인적으로는 이 두 가지 방법론 중에서는 투자중단법을 권하고 싶다. 특히 직장인에게는.

 

이 방법론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IMF, 금융위기와 같은 극단적인 하락장을 방어할 수 있다.
- 굳이 경제예측이니 뭐니 하는 어려운 부분을 눈이 뚫어져라 볼 필요가 없다.
- 로직이 단순하고 직장인도 무난하게 할 수 있다.
- 그러나, 비추세 구간에서는 손실을 볼 수 있다.
- 극단적인 손실회피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비추세구간에 유리한 전략도 있을까? 당연히 있다.

그것은 다음 시간에 소개하기로 한다.

이상민  의 다른 글 보기 >>

글을보다
2015/09/10 05:38 PM

내렸는데요...투자중단법? 주식100% 현금100% 이건..애초에 현금100% 상황에서 재진입 시점을 정확히 잡는다는 소리인데..그게 가능할까요? 현금100%로 있다가 언제 들어갈지 알고 타이밍을 정학히 잡아야하는데...

2015/09/10 10:45 PM

글을보다님// 정확히 굳이 안 잡습니다. Time cut 개념으로, 단순히 월초/월말 즉 한 달 간격으로 평가해도 지장없다는걸 보여드리려고 한 것입니다.

2015/09/10 10:47 PM

즉, 다시 말해 "굳이 정확히 잡을 필요는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포대비료
2016/09/14 12:39 AM

투자중단법에서, 월말에 (-)가 나서 0%로 만들었다고 가정할 경우.. 주식을 언제 다시 100%로 만들어야 할까요? 보유 종목들이 (+)로 돌아선 시점에 다시 매수하는 건가요? 그렇다 치더라도 개별종목은 변동이 심하고 심지어 지수와 디커플링 되기도 하잖아요. 이제 1년차인데 이런 고민을 해본 결과.. 그냥 존리식으로 존버하는 수밖에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본주의에서는 무조건 자산을 사고 보는거다 그냥 막!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