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

IT, 건설

CJ CGV, 글로벌 플레이어

2016/05/18 07:55AM

| About:

CJ CGV
요약

중국에서 이익을 내기 시작했다.

자료 : CJ CGV

 

이번에 소개할 기업은 CJ CGV입니다. 대형주 주로 투자하시는 분이라면 CJ CGV는 반드시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야 할 기업입니다. 왜냐하면 성장하는 기업을 찾기 힘든 시대에 글로벌 영화 사업자로, 특히 중국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CJ CGV에서 가장 먼저 봐야될 부분은 역시 중국입니다. 첫 진출은 2006년에 시작했습니다. 진출 초기 때는 외국기업으로써 중국법상 50% 밖에 지분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확장도 더뎠습니다. 그런데 2012년부터 100% 지분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고 이후 확장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올해는 8~90개까지 영화관을 늘릴 계획이고 매년 30개씩 오픈해서 2020년까지 200개 오픈이 목표입니다. 만약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중국 내 점유율은 7~8%, 3위 기업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향후 신규 출점될 사이트들 대부분 100% 지분을 가진 회사가 될 예정입니다.

중국 연도별 매출  자료 : CJ CGV

주목할 점은 이번 1분기 실적입니다. 우선 과거의 중국 사업 실적을 보시죠. 매출은 빠르게 성장하는데 제대로 이익을 내지 못내고 있습니다. 그러다 2015년 40억 영업이익을 냈습니다.

중국 16년 1분기 실적  자료 : CJ CGV

더 놀라운 것은 1분기 실적입니다. 1분기만 93억의 영업이익을 올렸습니다. 참고로 국내 부문 영업이익이 100억입니다. 참고로 국내는 배급 사업을 영위하기 때문에 배급 사업 이익도 포함된 수치입니다. 중국에서는 배급 비즈니스를 하지 않기 때문에 이익이 덜나오는데도 국내만큼 이익이 나왔습니다.

자료 : CJ CGV

이렇게 놀라운 실적을 기록한 것은 중국 영화 시장이 정말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체 시장 자체가 15년 1분기와 비교해서 50%나 성장했습니다. 거대한 시장이 이렇게까지 빨리 성장할 수 있다는게 놀랍습니다.

자료 : CJ CGV

중국 소득수준이 증가하면서 문화생활을 즐기는 수요 또한 빠르게 증가 중입니다. 위 도시 등급별 시장 성장률을 보시면 2,3선 도시로 갈수록 증가율이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B/O는 박스오피스의 약자로 단순하게 중국 영화 시장규모라고 보시면 됩니다. 낙후된 지역도 점점 영화를 보기 시작하는 모습입니다.
 
다만 ATP가 감소하고 있는게 다소 아쉬운데요. ATP는 AVERAGE TICKET PRICE의 약자로 티켓가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TP가 16년 1분기에 -3% 감소했는데 이는 중국에서 영화관 관련 O2O 서비스가 확장되면서 국가 보조금 등이 붙으면서 티켓가격이 빠졌다고 합니다. 이런 추세는 현재도 이어지고 있다는데요. 대신 O2O서비스로 관객의 관람 편의성 증가로 ATP하락을 상쇄할 만한 관객수 증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시장의 급격한 성장속에서 CJ CGV는 빠르게 영화관 수를 늘리면서 전년 동기 대비 매출만 98%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중국 영화시장 자체가 성장하면서 기존점 매출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신규 출점을 통한 성장은 초기에 비용이 반영되면서 매출 성장에 비해 이익 성장이 덜한데 기존점이 성장할 수록 이미 초기 출점비용 반영됐기 때문에, 고정비 효과보면서 이익 증가율이 더 가팔라집니다. 전체적으로 매출이 증가하면서 고정비효과로 이익증가율이 가속화되는 구간에 진입한 모습입니다. 

국내가 아쉽다.

별도 기준 1분기 실적  자료 : CJ CGV

 

중국은 굉장히 좋은데 국내가 다소 아쉽습니다. 매출은 비슷한데 영업이익이 많이 빠졌습니다. 다만 작년에는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 배급수익이 40억 잡혔는데 올해는 빠진 부부이 있습니다. 그래도 전년 동기는 사이트 수가 80개, 올해 1분기 90개로 10개나 증가했는데 매출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어떻게 보면 신규 오픈한 10개 영화관이 전혀 매출을 일으키지 못한것과 같다고 볼 수도 있는데요. 초기 출점비용도 붙었고, 신규 출점에 따른 매출 증가효과가 적어서 역고정비 효과로 영업이익이 급감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이 빠르게 올라오고 있는데 국내가 안 좋은 게 다소 아쉽습니다. 국내가 성장은 못해주더라도 유지만 해주면 중국과 그 밖의 해외가 성장해주면서 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텐데요. 우선은 계속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국내 전체 시장은 관객수 -2%, CGV관객수는 -3% 감소한 상황입니다.

글로벌 사업자로 거듭나는 기업

국내가 다소 아쉽지만 해외에서 성장하는 모습은 굉장히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중국 뿐만이 아닙니다. 베트남, 터키 등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자료 : CJ CGV

2011년 베트남의 1위 사업자를 인수하면서 시작한 베트남 사업은 현재 M/S 50%로 1위 사업자입니다. 매년 5~10개 신규 사이트를 오픈할 계획이며 올해는 누적 40개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관객층 평균 연령이 낮고 1회 연간 관람 수도 적어서 향후 성장 여력이 매우 높습니다. 다만 2015년 ATP가 감소했는데 주로 위성도시에 신규 출점했고 기업들 간의 프로모션 경쟁으로 내려간 측면이 있습니다.

자료 : CJ CGV

터키 또한 시장 내 1위 사업자인 MARS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하면서 진출했습니다. 4/4일 인수공시 나왔고 대금 납입은 5월 말 완료될 예정입니다. 마르스엔터는 영화관 84개 보유, 스크린 기준 점유율은 35% / 박스오피스 기준으로는 40%의 점유율을 가진 기업입니다. 2015년 매출 2200억 영업이익 330억을 올린 건실한 기업입니다. 터키 시장은 연간 1인당 관람회수가 0.9회에 불과해 역시 성장 여력이 높습니다.

이처럼 CJ CGV 장기 성장 여력이 높은 국가에 직접 진출 or 기업 인수를 통해 진출하면서 어느 한 국가의 매출이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를 감소시키면서 국내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영화관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은 매우 드물며 글로벌 사업자로 거듭다는 기업은 CJ CGV밖에 없습니다. 충분히 높은 밸류를 받을 만한 기업으로 주가 하락 시기에는 반드시 관심을 가져봐야 할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CJ CGV 일봉차트  자료 : 카카오증권

 

이스  의 다른 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