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ny Hwang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가치있는 기업 발굴

디티앤씨, 돈 버는 것은 시간 문제(1)

2015/06/21 09:21AM

| About:

디티앤씨
요약

[1] 시가총액: 2389억

[2] PER: 26.1배

[3] PBR: 3.7배

[4] 부채비율: 27%

[5] 사업내용(아래 모든 내용의 출처는 사업보고서)

-2014년 12월 코스닥에 상장, 시험인증사업[1]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으로 정보통신기기, 의료기기, 자동차 전장기기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내 인증 서비스를 제공


[1] 시험인증산업이란? ‘특정 경제활동이 법률 또는 시장자율로 정한 특정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지 입증해 주는 엔지니어링 컨설팅 산업’(국가기술표준원&시험인증산업협회). 시험기관은 인정기구로부터 인정받아, 해당 표준에 대한 제품의 시험을 수행하는 시험서비스를 제공하고 시험성적서와 인증서를 발급 및 관리하는 역할

 

인증 예시 (에너지절약 부문)                                                                     출처: 당사 홈페이지

그 밖에 디티앤씨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산업군에서의 시험인증 필요 예시

-가전제품: 전기안전, 화제사고 방지 등을 위해 정전기 등 제품이 잘 견딜 수 있는지 시험필요

-무선제품: 인체에 영향이 있는지 시험필요

-의료기관: 의료기기를 잘못 사용하면 사람이 죽을 수 있기 때문에 시험필요

-자동차전자장비: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전자제품은 납품 전 시험필요

 

정부의 시험인증제도 운영 목적

①제품의 사회적 안정석 확보(적합성평가)를 통해 소비자가 안심하게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환경 조성

②기술무역장벽해소(국가별 시장의 규제와 표준에 따라 개발되었음을 입증)

 

시험인증은 제품 판매 전 거쳐야 하는 필수과정으로 진입장벽이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인정기구(KOLAS)에서 총 79개 분야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시험인증기관의 자격을 인정해주고 있고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엄격한 사후관리를 받도록 되어있음

-각 분야 또는 기술에 따라 다양한 기구가 존재하고 새로운 기술이 개발될 때마다 시험규격을 추가 발표하는데 시험기관은 신청자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규격에 명시된 시험을 실시 한 후 시험성적서 발행하는 식으로 평가. 부적합 제품은 국가, 기관, 기구로부터 제품의 유통과 판매가 엄격히 금지되어 있어 개발된 제품의 판매 또는 수출을 위해서는 반드시 시험기관의 적합 판정을 받은 시험성적서와 이를 기반으로 발급받은 인증서가 필요

 

뛰어난 매출성장과 높은 영업이익률

-시험인증산업은 세계적으로도 빠르게 성장 중이며, 국내의 경우도 연평균 8.3%씩 성장하고 있음

-위 시장 규모는 농업, 식품, 의류, 화학, 조선 등 ‘모든’ 산업분야에 관련된 시험인증시장 규모임

 

-디티앤씨 시장점유율 2013년 5.8%일 때 매출 202억이었으므로 해당 시장규모를 역산해보면 3500억 규모(매출액 대비 2014년도 디티앤씨의 시장점유율 7.85%로 성장). 

경쟁상황

-국내기업: 모본, HCT, 윈텍 / -외국계 기업: SGS Korea, TUV SUD

-이 중 KTL[1](한국산업기술시험원) 과 SGS Korea[2] 가 시장의 70%이상을 점유

-계속해서 CAPA를 증설하고 있고 분야별로 용역도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1] KTL은 정부 산하기관으로 정부예산 집행을 통한 대규모 투자와 법령에 의해 일부 인증시험을 독점하고 있으며, 정부 위탁과제 수탁 등의 사업으로 시장 점유율이 높음

[2] SGS Korea는 대표적인 다국적 시험인증기업으로 우리나라 시험인증 시장을 선점하여 대규모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점유율이 높음.

 

-시험건수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매출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음

신규사업: 기간산업으로의 진출!

-우주항공 분야, 원자력 분야, 선급 분야, 방위산업 분야로 당사의 사업 영역 확장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 분야의 진출에 필수적인 신뢰성 및 환경 시험을 전담하는 시험 센터를 설립하여 신규 사업 분야의 진출에 수반되는 모든 시험을 진행할 수 있는 설비 역량을 구축 중

-이를 위해 2014년 12월 IPO를 통해 자금을 조달

산업특성

①기술 유출의 방지 (시험과 인증 위해 제품의 핵심기밀자료를 공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중요자료가 외국계 인증기업에 제공될 경우 유출될 소지가 있어 자국 내 시험인증산업의 발전은 이러한 핵심기밀자료의 국외유출을 방지할 수 있음)

②국산화 대체로 인한 외화유출 방지 (2012년 국내 시험인증산업 규모는 3.5조원 상회하는데 시험인증을 체계적으로 서비스하는 국내기업이 없을 경우 모든 비용이 외국으로 유출)

③무역 규제의 대항력 강화 (WTO와 FTA등의 탄생으로 무역의 국경이 없어지고 진출입 규제가 사라져 국가가 역외 제품의 무분별한 수입을 규제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국가 인증제도인데 선진국에서 우회적으로 자국산업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 받고 있음

④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수요와 수익성이 동시에 증가 (기술이 발전하고 기술융합 제품이 활발해질수록, 시험 항목과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시험 난이도가 급격히 고도화되어 매출 단가가 상승, 특히 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전기자동차, 사물인터넷, 원격의료분야, 무인자동차 등의 새로운 제품군과 상품이 출시됨에 따라 시험인증 시장의 규모는 커지고 있음)

시험인증산업은 산업 전 영역에 걸쳐 필요한 산업이므로 특정산업에 편중되어 영향을 받는 다른 분야와 달리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

⑥동반자적 고객관계, 고객의 이탈이 쉽지 않은 산업 (제품 또는 기술의 공유, 이해, 정보의 보안 측면에서 고객사와 동반자적 관계를 유지, 일반적으로 한 회사에서 만들어지는 제품 분야가 크게 바뀌지 않기 때문에, 이력이 있는 시험 기관과의 업무 진행을 선호하게 되어 고객이탈이 적음)

⑦매우 다양한 제품 분야의 많은 고객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계절적, 기간적 영향은 많지 않음. 제품의 소비 패턴이 바뀌는 경우에도 대체 제품의 등장으로 인한 신규 수요가 발생하게 되어 시험 및 인증의 수요가 증가.

To be continued ...

Tony Hwang  의 다른 글 보기 >>